환자 지지해 주고 격려해야

[ 시티저널 신유진 기자 ] 세월호 침몰 사고로 전 국민이 큰 충격을 받았다. 구조된 학생들은 우울증, 수면장애 등 심각한 불안 증세를 보이고 있고 실종자 가족들뿐만 아니라 구조에 참가한 수색대원, TV를 통해 사고소식을 접하고 있는 국민들도 간접적 외상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충격적인 사고를 직·간접 경험한 사람들의 불안증세가 심해지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가 나타난다.

특히 이번 세월호 사고 여파는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심리적 치료에 대한 주위의 환기가 절실히 필요하다.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제춘교수에 따르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신체적인 손상과 생명의 위협을 받은 사고에서 정신적으로 충격을 받은 뒤에 나타나는 정신적 질환으로 PTS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충격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성 스트레스 장애 혹은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과거에는 주로 군인들이 전쟁터에서 겪었던 충격과 공포로 인해 전쟁이 끝났는데도 불구하고 전쟁의 공포 상황 속에서 살며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 내려지는 진단이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자연재해, 교통사고, 테러, 강도 등 각종 사건이나 사고 등을 겪은 뒤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연령, 인종, 성별 등에 상관없이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사고를 경험한 사람만 걸리는 것이 아니라 사고를 당한 친구나 가족들을 옆에서 지켜 본 경우에도 올 수 있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초기 급성 스트레스 장애로 시작, 급성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 경험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이다.

특별히 정신력이 약하거나, 심약하지 않아도 누구나 당연하게 겪을 수 있는 반응인데 이런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될 때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판단한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크게 재 경험, 회피반응, 각성상태 이렇게 3가지 증상으로 나타난다.

재 경험 증상은 사건에 대한 기억이 꿈이나 환각을 통해 다시 일어나는 것처럼 행동하고 느끼게 되고 땀이 나거나 심장이 뛰는 듯한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외상후 스트레스의 주 증상인 회피반응은 교통사고를 당했던 사람이 다시 차를 타지 않으려고 하는 것과 같이 사고와 유사한 상황에 다시 놓이게 되는 것을 극단적으로 피하고자 하는 반응이다.

뿐만 아니라 사고와 관련된 생각이나 말, 사고를 생각나게 하는 환경적인 단서들로부터도 필사적으로 회피하게 된다.

그 결과 아예 외부로부터 마음의 문을 닫아놓은 채 외면하고 사는 것처럼 심한 정서적 위축상태에 빠지게 되고, 멍하고 감정이 없는 사람처럼 되기도 한다. 간혹 아예 사고의 일부를 기억해내지 못하는 현상이 나타나기까지 한다.

반면 과도한 각성 상태도 있을 수 있다. 전화벨만 울려도 심하게 놀라고 가슴이 두근거리며 진정이 안 되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신경이 너무 놀라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잠을 제대로 잘 수 없고, 집중력이 떨어지며 때로는 유별나게 신경질적이 되기도 한다.

을지대학병원 정신과 유제춘 교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 한 번의 사고로 인한 고통스러운 증상이 보통은 수개월 이상 지속되며, 회복에 수년이 걸리기도 하고 평생 동안 고통 받을 수 있어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절실하다"며 "조기에 치료할 경우 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하는 질환이므로 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발병 초기에 적절한 약물 및 단기 정신치료를 실시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어 "치료는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를 병행해서 애햐 앟고 평소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며 "심각한 사고나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 나타난다고 판단될 때는 주저하지 말고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