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4월까지 집중 방제 계획…방제 성과 적절한 예산 투입 등으로 가능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 파쇄 장면.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 파쇄 장면.

[시티저널=허송빈 기자] 산림청이 올 4월까지 소나무 재선충병을 집중 방제한다. 지난 해 107만 그루였던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은 집중 방제로 올해는 87만 그루로 감소할 전망이다.

산림청은 지방 자치 단체와 합동으로 과학적인 방제 기술 도입과 집약적인 현장 관리로 방제 효과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소나무 재선충병은 감염되면 100% 고사하는 병으로 소나무, 곰솔, 잣나무 등에 치명적인 산림 병해충이다.

겨울철 가뭄과 봄철 고온으로 재선충을 옮기는 매개충의 활동 시기가 빨라지고, 실제로 지난 해 봄철 기온이 오르면서 재선충의 매개충이 2020년보다 10일 가까이 빨리 깨어났다.

산림청은 2005년 소나무 재선충병 특별법을 제정하고, 소나무림을 지키기 위해 방제에 집중하고 있다.

소나무 재선충병을 방제하지 않고, 방치하면 빠른시간 안에 모든 소나무가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방제를 늦출 수 없다는 것이 산림청의 설명이다.

우리나라 보다 먼저 소나무 재선충병의 피해를 받은 일본의 경우 문화재 구역 등 중요 지역을 제외하고는 사실상 소나무가 절멸한 상태이다.

일본 교토대학의 후타이 카즈요시 교수는 "소나무 재선충병을 방제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10년안에 78%의 소나무가 고사할 것이다"고 했다.

우리나라가 일본과 다르게 소나무를 재선충병에서 지켜야 하는 더 큰 이유는 국민 정서에서 찾을 수 있다.

2019년 한국 갤럽 조사에 따르면 소나무는 우리나라 국민의 절반 이상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로 꼽았다.

소나무·곰솔·잣나무 등 소나무림은 우리나라 산림의 약 27%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소나무림은 연간 약 71조원의 공익적 가치를 창출하고, 목재, 조경수, 송이, 잣 등 임산물 생산액은 연간 2539억원에 달한다.

소나무는 국민의 나무일 뿐만 아니라 경제·문화·역사·휴양 자원으로서 최고의 가치를 지닌 자산이다.

세계적으로 소나무 재선충병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일본, 중국, 스페인, 포르투갈 등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 위원회에서는 '유럽 연합 내 소나무 재선충 확산 방지를 위한 긴급 조치안'으로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목과 감염목에서 반경 500m 이내에 있는 수목을 벌목하도록 권고했다.

포르투갈은 EU의 가이드 라인에 따라 가을과 겨울에는 예찰, 진단과 쇠약목 제거에 집중하고, 매개충 활동기인 여름에는 매개충을 포획하고 있다.

그럼에도 유럽을 포함한 일본, 중국 등 외국에서 재선충병 방제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그동안 집중 방제의 성과로 소나무가 절멸 위기에 있던 제주도가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안정화되고, 충북 영동군, 대구 남구, 전남 곡성군, 경북 울진군은 재선충병이 다시 발생하지 않은 청정지역으로 회복되기도 했다.

소나무 재선충병의 방제 성과는 적합한 방제 기술과 꼼꼼한 방제 작업, 적절한 규모의 예산 투입으로 가능했다.

실제 방제 예산을 집중 투입할 때 소나무 재선충병이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2014년 소나무 재선충병이 크게 확산할 때 집중 방제가 이뤄졌지만, 가시적인 효과는 5년 이후에나 나타났다. 따라서 재선충병이 안정세를 보인다고 방제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산림청은 지난 해부터 재선충병 감염 소나무를 신속하게 찾아내기 위해 드론을 이용한 공중 예찰과 유전자 진단 키트를 개발해 현장에 보급하고 있다.

진단 키트는 종전의 소나무 재선충병 감염 진단 시간을 3일에서 30분으로 줄인다.

드론으로 확인된 감염목은 영상 분석으로 좌표값을 취득하고, 감염목에 QR 코드 정보를 입력해 검경부터 방제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등 첨단 과학 기술 기반의 방제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재선충병이 집단적으로 발생한 지역을 특별 방제 구역으로 지정해 솎아베기 등 임업적 기술과 예방 나무 주사를 접목한 복합 방제를 실시할 예정이다.

방제 현장의 사업 품질을 높이기 위해 책임 방제 구역 평가 제도 역시 도입했다.

산림청은 집중 방제 기간동안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고 방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2주마다 방제 상황을 점검하는 대책 회의를 열기로 했다.

관리자급 직원을 지역 담당관으로 운영해 현장과의 소통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