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당초 3개 간선 도로 확대 계획…말로만 하는 대중 교통 중심 도시

▲ 2011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도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는 이후 계속해 재 검토와 폐지 요구를 받고 있다. 대전시가 교통 중심 도시를 지향점으로 삼으면서도 확대는 커녕 있는 중앙 버스 전용 차로의 재 검토 요구를 받아야 하는 실정이다.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 도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 재 검토 또는 폐지 지적은 잊혀질만하면 한 번씩 나오는 단골 메뉴다.

대중 교통 중심 도시를 지향점으로 삼은 대전시의 정책 추진력 부족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2011년부터 실시한 동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는 이후 계속 시 의회의 재 검토 또는 폐지 요구를 받아 왔다.

이처럼 한 번씩 개선 요구와 대책 마련을 주문 받았던 원인은 시의 교통 행정 난맥상에 있다.

2012년 7월 19일 시는 2011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도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차로의 버스 평균 속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자 계룡로·대덕대로·동서로를 우선 추진 대상 노선으로 선정해 2015년 계룡로에 가장 먼저 중앙 버스 전용 차로를 설치에 착수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계룡로에 설치한다던 중앙 버스 전용 차로는 5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 모습을 살펴 볼 수 없는 것은 물론, 당초 계획에 없던 트램이 그 자리를 자치했다.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방식을 자기 부상 고가 방식에서 트램으로 바뀐 2016년 시는 다시 트램 도입에 앞서 출퇴근 시간에만 운영하고 있는 가로변 버스 전용 차로를 24시간 전일제로 운영하는 계획을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지만 지금까지 달라진 것은 없다.

오히려 시는 2012년 이후 가로변 버스 전용 차로가 됐건 중앙 버스 전용 차로가 됐건 아예 새롭게 지정하지 조차 않는다.

2012년과 2016년 유성-세종과 대전역-세종을 오가는 BRT를 위해 북 유성대로와 오정로 등에 중앙 버스 전용 차로 지정 또는 전환한 사례 등은 있지만, BRT라는 특성을 감안해 보면 예외로 두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이런 상황 속에서 시 의회는 가만히 있을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이달 3일 대전시의회 제250회 제1차 정례회에서 김인식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수년동안 운영해 온 도안동로의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의 정책 방향을 과감하게 바꿔 다른 운영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중앙 버스 전용 차로제를 '몸에 맞지 않는 옷'으로 비교하기도 했다.

이보다 앞선 2014년 12월 시 의회 새정치민주연합 송대윤 의원은 제216회 제2차 정례회 제4차 본 회의에서 도안 신도시 도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차로 전일제 운영에 따른 교통 혼잡과 교통 사고 인명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조속한 폐지와 함께 가변 차로제 전환을 촉구하기도 했다.

2013년 12월 12일에는 최진동 의원이 예산 결산 특별 위원회에서 도안 지구 중앙 버스 전용차로 운영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책 마련을 주문했다.

의회 뿐만 아니라 주민 반발은 법원 판단을 촉구하기에 이른다.

2011년 도안동로 중앙 버스 전용 차로 도입 후 도안 신도시 주민으로 구성된 중앙 버스 전용 차로 폐지 시민 위원회는 교통 사고 발생 등을 이유로 폐지 소송을 벌였지만 패소했다.

시가 그 대책으로 마련한 것이 중앙 버스 전용 차로 확대 설치였지만, 이후로 유명무실해졌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