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발연, '기초적인 자료 불구 추진 않되 현실적 반영에 한계'

[ 시티저널 박현수 기자 ] 충남의 교통정책 수립과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시설(일명 SOC) 사업에 기초가 되는 충남의 교통수요분석DB(Database) 구축과 관리가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교통수요분석DB는 도내 교통·SOC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대로 추진되지 않아 충남 지역의 통행패턴을 현실적으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12일 충남발전연구원 김형철 초빙책임연구원 등 연구진은 충남리포트 137호를 통해 “현재 수도권과 대도시권의 광역시는 국가교통DB(장래 교통수요예측분석에 활용되는 국가공인자료, 이하 KTDB) 구축사업과 연구에 참여하여 교통수요분석DB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하지만 경기도를 제외하고 충남을 포함한 도 단위의 광역지자체는 현재 참여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김형철 연구원은 “현재 충남의 교통수요분석 기초자료에는 △충남 기·종점 통행량(이하 O-D 통행량)의 현행화 미비 △교통존과 네트워크 체계의 불일치 △충남의 장래 개발계획 미반영 △충남 교통수요모형 부재 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충남의 지역 발전을 위해 반드시 추진해야 할 사업들 중 서해선과 장항선 복선전철, 대산-당진 고속도로 등은 모두 국비가 수반되는 현안 사업들”이라며 “그러나 현재 구축된 KTDB로는 충남의 지역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비 확보에 차질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교통수요분석시 통행 유출·입을 집계하는 공간적 단위인 ‘교통존’은 천안시와 아산시의 경우 1~2개의 교통존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 인구 규모가 비슷한 경기도의 안산시(상록구, 단원구), 수원시(권선구, 영통구, 장안구), 고양시(일산서구), 용인시(수지구)의 교통존은 8~13개로 세분화되어 있다.

김 연구원 등은 “교통존의 크기가 커 버리면 통행량이 과소하게 추정될 가능성이 높아 일부 관련 사업의 타당성이 저평가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기존 KTDB에서 충남의 교통존을 세분화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충남 지역의 장래 개발계획은 대전광역권에 포함된 공주시와 논산시의 개발계획만 반영되어 있는 현실”이라며 “충남도청 이전과 내포신도시 계획, 아산탕정 택지개발사업 등 대규모 사업들이 KTDB의 장래 O-D 통행량에 반영되어 있지 않아 장래 교통수요가 과소로 추정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연구원 등은 “충남의 신뢰성 있는 교통수요예측을 위해서는 교통수요분석DB의 구축과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며 “교통수요분석DB 구축 시 △충남 교통존 체계의 재정립 △지역 특성이 반영된 교통수요모형 개발 △충남 교통수요분석DB와 KTDB의 O-D 통행량 융합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 연구원은 또 “충남의 교통수요분석DB 구축과 지속적인 관리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통수요조사 및 DB 구축사업에 충남의 참여가 가능토록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이와 관련해 충남도는 국가 조사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예산확보 등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고, 충남의 각 시·군은 물론 관계 기관들의 적극적인 협조체제도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