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소재 의약품 관련 출원 증가세…다른 신약 개발 분야 비해 국내 연구 활발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하찮게만 여겨지던 곤충이 의약품의 새로운 후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특허청은 최근 10년 동안 곤충 소재 의약품 관련 출원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2005~2009년에는 매년 10건 안팎으로 미미했지만,  2010년 이후에는 매년 20~30건을 넘어서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곤충 소재 의약품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이런 추세는 특허 출원 동향을 분석한 결과로도 확인된다.

또 대상이 되는 곤충의 종류도 늘어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약재로 사용돼 온 벌침, 누에 외에도, 최근에는 갈색 거저리, 동애등에, 꽃매미 등과 같이 생소하거나 약용으로 알려지지 않은 종류로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실제 갈색 거저리는 딱정 벌레목의 곤충으로 해충으로 인식됐지만, 현재 유충인 '밀웜')은 애완 동물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고, 항암·항치매 효능 등이 밝혀졌다.

동애등에는 파리목의 곤충으로 음식물 쓰레기·분뇨 처리에 활용이 기대되며, 폐렴균·이질균 등에 항균 활성이 밝혀지기도 했다.

꽃매미의 경우 중국 등이 원산인 외래종이며, 과수에 피해를 주고 있지만, 항알레르기 활성이 밝혀졌다.

적용 대상이 되는 질환 역시 염증, 암, 알츠하이머, 심혈관계 질환, 바이러스 질환 등 다양한 종류의 질환에 곤충의 치료 효과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

이전까지 곤충 전체를 추출물로 이용하는 단순한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면, 최근에는 곤충에서 펩타이드, 다당폴리머 등 특정한 약효 성분만을 분석, 분리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쇠똥구리가 자기 방어를 위해 분비하는 항균 펩타이드를 천연 항생재로 이용하거나, 뒤영벌에서 분리된 다당폴리머를 심혈관계 질환 치료에 이용하는 사례 등이 대표적이다.

출원인의 국적을 분석하여 보면, 내국인이 대부분을 차지해 다른 신약 개발 분야에 비해 국내에서 연구가 활발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