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중학교 자유학기제 2016까지 도입...취지 '긍정', 효과 '과연'

[ 시티저널 신유진 기자 ] 정부가 오는 2016년까지 중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고 적성.소질 등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일부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특히 이 정책이 중학교에 한정되 있어 오히려 학교 행정에 혼란을 줄 뿐 아니라 이를 뒤받침 해 줄 '직업체험장소' 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28일 교육부는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교 교육 정상화 추진을 위해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2016년까지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제도는 중학생들이 과도한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자신의 적성과 소질을 찾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갖도록 하기 위해 마련됐다.

학생들은 자유학기에는 현행 교육과정의 기본 틀 내에서 조사.발표.토론.실습.프로젝트 수행 등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실시한다.

또 다양한 문화.예술.체육.진로 프로그램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자율성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일제식 지필고사를 지양, 학생들이 시험부담에서 벗어나도록 하고 발표 및 협동과제 등 학습 활동과정과 결과 등을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한다.

더불어 학생들 시험 부담 완화를 위해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과목을 5과목에서 3과목으로 축소할 계획이다.

이에 교육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연구학교 37개교를 운영, 2014~2015년에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확대하고 2016년에 전면 도입할 방침이다.

문제는 적용학기가 학교장 자율이기 때문에 각 학교마다 시행 시기가 다르고, 한 학기로 국한돼 있어 진로지도에 있어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는 의문이란 점이다.

또 진로교육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장소 등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아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안한만 못한 꼴이 될 것이다.

현 우리나라 교육은 유.초.중.고.대학이 연결이 돼 있는 상태로 중학교에서만 실시하는 것은 숲이 아닌 나무만 개선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봤을 때 큰 효과가 없단 지적이다.

또 학교 행정에서도 혼란이 가중될 수 있고 자유학기제가 끝난 후에는 다시 입시체제로 돌입, 당초 취지도 무색할 수 있다.

게다가 서울 및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에서는 이런 진로 및 직업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전과 충청지역도 직업체험을 할 수 있는 '잡 월드'같은 시설이 없어 많은 학부모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서울과 수도권 등을 방문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

대전의 한 교사는 "자유학기제 취지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지만 진로교육은 초등학교때부터 유기적으로 연계를 해서 해야 효과가 있다"며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공교육 시스템이 전면 개편 되지 않는 한 한계가 있을 것이다"고 질타했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는 "우리 아이가 중학교 들어갈때 실시한다고 해 유심히 봤는데 이것 또한 생활기록부 등에 남으면 체험 등을 하러 다녀야 할 텐데 어디서 하냐"며 "학교에서 실시하는 직업 체험은 한계가 있다.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과 시설이 구축된 체험 공간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