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유튜브서 온라인 공개…국가 제사에 올릴 짐승 잡을 때 사용

문화재청 국립 고궁 박물관이 '난도'를 3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정해 국립 고궁 박물관 지하층 상설 전시장 왕실의례실에서 소개하고, 2일부터 문화재청과 박물관 유튜브에서 온라인 공개한다.

박물관에 따르면 난도는 종묘 등 국가 제사에 올리는 짐승을 잡을 때 사용하던 칼이다.

'난'은 방울이라는 뜻으로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 등의 그림에서 칼 손잡이 부분에 세 개의 방울이, 칼등과 칼코에 각 한 개씩 방울이 달려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박물관 소장 난도 두 점은 방울이 남아 있지 않지만 방울이 매달려 있던 구멍은 확인할 수 있다.

두 점 가운데 한 점에는 칼날과 손잡이 연결 부위, 손잡이에 은으로 무늬를 새겨 넣었다.

종묘 제사에는 소·돼지·양을 잡아 각 짐승의 털과 피, 간과 창자 사이 기름 등을 제사상에 올렸다.

이렇게 올리는 짐승을 희생(犧牲)이라고 한다. 왕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는 그 상태를 직접 점검할 정도로 중요하게 여겼다.

희생을 잡을 때도 정해진 절차와 형식을 엄격히 따랐고, 이때 사용하던 칼이 난도다.

칼에 달린 다섯 개의 방울은 고대로부터 사용하던 다섯 가지 음계를 나타낸다.

난도를 흔들어 방울을 울리게 하며, 이때 음의 조화를 이룬 뒤에야 고기를 잘랐다고 전해 진다.

잡은 희생의 털과 피는 넓은 쟁반 모양의 모혈반(毛血槃)이라는 제기에 담고, 간과 창자 기름은 간료등이라는 그릇에 담았다. 이때 간은 울창이라는 제사용 술로 씻었다.

제사상에 올리고 남은 털과 피는 깨끗한 그릇에 담았다가 제사가 끝나면 땅에 잘 묻었다.

난도는 제사를 지낼 때 배향자에 극진한 예우와 후손의 공경심을 드러내는 도구였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