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교통 분야 정책 브리핑…안전·보행자 우선 5개 추진 전략 마련

▲ 14일 대전시 박제화 교통건설국장은 교통 분야 정책 브리핑에서 사람 중심의 안전한 스마트 교통 도시 대전 실현을 목표로 하는 민선 7기 교통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시가 사람 중심의 안전한 스마트 교통 도시 대전 실현을 목표로 하는 민선 7기 교통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14일 시는 유성구에 있는 교통 문화 연수원에서 버스·택시 운송 조합 관계자, 시민 단체, 시민 등이 참여한 가운데 교통 분야 정책 브리핑을 개최했다.

브리핑에서 박제화 교통건설국장은 "대전에 트램이 새롭게 도입되는 만큼 버스와 도시 철도는 물론, 택시, 공영 자전거 타슈 등 모든 교통 수단과 연계해 어디서나 이동이 편리하고 모두가 안전한 스마트 교통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시는 이를 위해 2022년까지 3조 1800억원을 투입해 도시 철도 중심 교통 인프라 구축, 교통 안전 시설 보강과 시민 중심 교통 안전 문화 확산 등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교통 환경을 조성하기로 했다.

또 4차 산업을 기반으로 한 혁신 교통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책 브리핑에서 시가 발표한 민선 7기 교통 정책은 5개 분야별 추진 전략을 담았다.

도시 철도 중심 공공 교통 서비스 강화, 대전권 순환 도로망 건설, 상생 발전 광역 교통망과 물류 시설 기반 확충, 4차 산업 혁명을 실현하는 스마트 교통 도시 조성, 교통 사고 사망자 제로 안전도시 구현 등이 그것이다.

우선 도시 철도 중심 공공 교통 서비스를 강화한다.

지난 달 29일 정부 예비 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으로 확정된 도시 철도 2호선 트램이 건설되면, 대전에는 간선 철도망이 3개 노선으로 촘촘해 진다.

2호선을 완성하는 2025년에는 기존 시내 버스 노선을 전면 개편해 도시 철도·급행 버스·광역 BRT 등의 역과 정류장에 지선을 투입하고, 이동이 많은 주요 거점 지역에는 환승 센터와 환승시설을 설치해 원하는 곳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교통망을 조성한다.

2호선과 중복되는 노선의 시내 버스는 틈새 지역과 오지 지역으로 전환하고, 도시 철도가 경유하지 않는 도심 교통 수요가 많은 지역에는 급행 버스 노선과 전용 차로를 확대해 현재 37%인 공공 교통 수단 분담률을 2030년까지 50%로 끌어 올린다는 복안이다.

공공 교통 정류장 주변에는 자전거 이용이 편리한 인프라 확충과 공공 교통 수단의 환승 체계 도입으로 출퇴근은 물론 생활형 이용 수요도 창출할 계획이다.

대전권 순환 도로망을 건설해 지역 내·외곽 순환 도로망 3개 축으로 단절된 5개 구간 32.5㎞를 연결시켜 도심 교통량 분산과 원도심 등 지역 균형 발전을 꾀하기로 했다.

상생 발전 광역 교통망과 물류 시설 기반을 확충해 대전·충남북·경북·강원을 아우르는 중부권 경제 벨트와 중부권 교통 중심 도시로 거듭 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또 긴급 차량 우선 신호 시스템, 스마트 신호 제어 등 교통 분야에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하고, 주차 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안내 시스템과 공유 주차 통합 관리 플랫폼을 조성해 4차 산업 혁명을 실현하는 스마트 교통 도시를 만든다.

특히 교통 사고 사망자 제로 안전 도시를 구현하기로 했다.

그동안 차량·운전자 중심에서 보행자·안전 중심으로 교통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 교통 사고 사망자 50% 줄여 지난 해 85명인 교통 사고 사망자 수를 2022년까지 약 40명 수준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도로 구조상 무단 횡단 유발 장소를 전수 조사하고, 횡단 보도가 없는 보행 불편 도로와 보행량이 많은 교차로에 대각선 횡단 보도 등을 확대 설치한다.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 교통 약자 보호 구역 566곳을 2022년까지 650곳으로 확대하고 보호 구역 내 안전 표시, 속도 저감 시설, 노면 표시 등 시설을 보강하는 한편, 보행자 교통 사고 다발 지역과 사고 위험이 높은 곳을 우선으로 도심 차량 제한 속도를 시속 10km를 맞춰 교통 사고 발생 요인을 줄이기로 했다.

사망 사고 발생 지역에는 과속 방지 시설을 설치, 모두가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한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