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새 혁신 성장 거점 재 창조…소규모·고밀도 혁신 클러스터로 조성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1970년대 조성돼 40년이 흐른 대전 대덕 연구 개발 특구가 리노베이션으로 그 강점을 극대화 한다.

16일 대전시는 과학 기술 중심 지역 혁신과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 등 정부 정책에 맞춰 대덕 특구에 소규모·고밀도 복합 혁신 공간 조성과 관련 규제 혁신·특례를 도입하는 등 대덕 특구를 국가 경제 성장의 새로운 혁신 성장 거점으로 다시 창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판교 테크노 밸리 성공 사례와 정부 과학 기술을 통한 혁신 생태계 구축 등 범 부처 협업을 통한 대덕 특구 리노베이션을 추진, 대덕 특구를 국가 경제 성장 거점으로 재 창조 방안을 정부에 제안한다는 구상이다.

우선 대덕 특구 유휴 부지에 소규모·고밀도 도시형 복합 혁신 지구를 5~7곳을 조성해 도시 역동성, 밀도감, 지식 소통 등이 특구 내·외부로 환류될 수 있는 공간 기능 확보을 재 창조 방안에 담을 전망이다.

또 과학자와 청년이 특구 기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창업에 활용하고, 이를 다시 연구 기관에 환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혁신·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방향 등을 집중 논의하기로 했다.

특구 내 일부 공간을 신기술·신산업 분야 테스트 베드와 규제 혁신존으로 조성, 대덕 특구를 4차 산업 혁명 특별시 핵심 거점으로 활용할 방안도 포함할 것으로 보인다.

시의 계획대로 될 경우 대덕 특구는 소수 연구 기관과 연구원을 위한 공간에 머물지 않고 지역 사회와 산·학·연 교류·협업의 열린 공간 조성으로 융합 공동 연구와 기술 사업화, 소규모 창업 공간 제공에 따른 창업 활성화 등 혁신 성장 생태계 구축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1970년대 국가 연구 활동 집적이인 대덕 연구 단지를 중심으로 조성한 대덕 특구는 과학 기술과 국가 산업 등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지난 40년동안 연구 개발 중심으로 국가와 지역 경제 성장을 이끄는데 한계에 직면했다는 시대적 반성과 함께 변화 요구도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4차 산업 혁명 등 글로벌 경제 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국가 경제 성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새로운 혁신 성장 거점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판교 테크노 벨리다.

이 곳은 자족 기능 강화를 위한 첨단 융합 기술 중심 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목적으로 66만 1000㎡ 남짓한 공간에 고밀도 복합 개발을 통해 조성 10년만에 약 1300개 기업 입주와 매출액 77조원 달성 등 도시형 혁신 클러스터로 성공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