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반 미칠 영향 파악 못해…킬러 콘텐츠 없는 탁상 행정 지적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시가 대선 공약인 제4차 산업 혁명 특별시 육성 계획을 정치권에 건의하고 있지만, 사업 앞에 '스마트'만 덧붙인 것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시의 설명대로 대덕 연구 개발 특구를 배후로 한 각종 센터 건립과 시설 조성이 얼마나 제4차 산업 혁명 특별시 육성에 도움이 될지 미지수다.

다른 시·도의 경우 4차 산업 혁명을 단위 사업 위주 정책으로 국비 확보에 나서면서 지방비를 투입해 추진하는 것을 미뤄 볼 때 대전시의 정책은 헛발질에 가깝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런 사실은 최근 잇따라 국회에서 정치권 인사와 면담을 권선택 대전시장의 건의한 내용에서도 나타난다.

권 시장은 연이은 방문에서 스마트 융복합 산업 단지 조성과 스마트 시티 실증화 지구 가칭 스마트 월드 조성을 국정 과제로 선정해 달라고 건의했다.

우선 스마트 융복합 산업 단지의 경우 유성구 대동·금탄동 일원 약 270만㎡ 규모에 총 사업비 2조원을 투입해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간 분양을 통해 1조 6500억원은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중이다.

그러나 이 산업 단지에는 이른 바 '킬러 콘텐츠'가 없다.

융복합 연구 개발(R&D) 기반 구축, 스마트 제조 혁신 센터와 빅 데이터 서비스 지원 센타 건립 등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시가 강조하고 있는 대덕 특구에 약 30개의 정부 출연 연구원이 있고, 1300개 가량의 첨단 기업·연구소 입주로 175개 연구소 기업이 자리를 잡으면서 전국의 44%를 차지함에도 또 다른 연구 개발 기반이 필요하냐는데는 의문 부호가 붙는다.

특히 스마트 월드의 경우 국내 주거 환경을 감안하지 않은 전형적인 탁상 행정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스마트 시티 실증화 지구 조성 가운데 스마트 빌리지의 경우 2만 5889㎡의 출연연 공동 관리 아파트 부지에 민간 사업자를 유치해 올해부터 2021년까지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출연연 공동 관리 아파트가 건축된지 비록 오랜 시간이 흘렀다고 해도 기본적인 난방, 방범 등 일부지만 주거 자동화 시스템인 홈 오토메이션이 이미 도입돼 있다.

새 아파트일 수록 홈 오토메이션 도입 정도가 더 낫다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런 상태에서 IoT를 접목한 스마트 빌리지가 어떤 목표로 가고 있는지 설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라리 홈 오토메이션을 위해 하드웨어적으로 각종 센서와 터미널 개발, 소프트웨어에서 프로그램 개발 등을 육성하는게 바람직하다는 분석이다.

제4차 산업 혁명이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파악해 이를 이끌어 가는 행정이 아니라 한 때 빛나는 건축물이라도 남기려는 행정이 아닌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