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시·도 사업 위주 진행…대전시 선포식 외 움직임 전무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선 기간 대전 지역 화두로 떠오른 제4차 산업 혁명 특별시는 온데간데 없고 4차원 행정만 남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전시의 경우 제4차 산업 특별시 대전 비전 선포식 외에는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대선 기간 4차 산업 혁명에 뛰어든 다른 시·도의 실리 챙기기를 살펴 보면 이런 대전시의 무능력은 더 두드러 진다.

광주시의 경우 4차 산업 혁명 대응을 위한 차세대 지역 전략 산업 차원에서 친 환경차 전문 기관 유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차세대 지역 전략 산업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사업비는 국비 2300억원을 포함해 3800억원 규모다.

경북도는 지난 달 30일 대구·경북 지역 예결 위원을 만나 광역 사회 간접 자본(SOC) 확충과 지역 전략 연구 개발(R&D) 사업 기반 구축 사업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이 자리에서 도는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4차 산업 혁명 구축과 관련 지역 전략 산업인 스마트 기기 육성,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 구축, 무선 전력 전송 산업 기반 구축 사업 등 3개 사업에 814억원을 요청했다.

제조업 중심 도시의 첨단 산업 도시로 탈바꿈도 4차 산업 혁명이 핵심이다.

경북 구미시와 포항시는 스마트 의료 기기와 첨단 소재·신약 도시로 변신을 위해 4차 산업 혁명 관련 첨단 산업 거점 센터를 잇따라 구축 중이다.

제조업과 철강이 지역 산업의 핵심을 이루는 두 도시의 변화는 첨단 기술 사업화 센터에서 시작한다.

도비 160억원이 투입돼 2021년 완공 예정인 이 센터에는 40개 기업이 입주할 공간에 70개가 넘는 기업이 입주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정부에서 국가 산업 단지 계획 승인을 받은 경남 밀양시의 나노 융합 산업 단지를 두고 경남도는 나노 융합 기술의 상용화 메카로 4차 산업 혁명을 선도하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밀양 나노 융합 산단은 1단계로 2020년까지 3209억원을 투입해 약 166만㎡를 조성하고, 입지 수요를 반영해 단계적으로 330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산단에 앵커 기업과 연구 기관 등이 입주할 경우 공동 연구를 통해 상용화 융합 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반면 대덕 연구 개발 특구를 배후로 하고 있는 대전이 4차 산업 혁명의 최적지라는 주장은 무색하다.

올 5월 권선택 대전시장은 시정 브리핑과 구청장 간담회, 국회의원 간담회에서 제4차 산업 혁명 특별시 조성을 국정 과제에 포함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산업·인프라·실증화를 중점 과제로 삼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달라진 것은 제4차 산업 특별시 대전 비전 선포식 외에는 내세울만한 '뭔가'가 없는 상황이다.

이처럼 한 방 없는 시의 4차 산업 혁명 특별시 관련 정책은 비전 선포에 따른 지역 기업의 기대감만 높여 놓은 것에 불과하다는 평기를 받는다.

현재까지 단 한 푼의 국비 확보 또는 지원도 확답 받지 못한 것은 물론, 시 재정으로 무언가를 하겠다는 계획도 뚜렷하지 못하다.

단지 국정 과제에 포함시켜 뭔가를 하겠다는 계획만이 있을 뿐이다.

또 대덕 특구에서 연구·개발하고, 기업에서 상용화하는 경제적 순환 고리를 만들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차라리 시가 4차 산업 혁명 특별시 조성이라는 명분이라도 내세우지 않았더라면 모를까 다른 시·도의 실리 챙기기에 그 명분마저 희석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