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장 - 버스 준공영제 재검토 지시

 

우리가 생각하기에는 대전시 교통과장과 한국노총 이봉우 간사가 대전시청에서 만났다.

 

대전시가 준공영제 실시 이후 일반 버스 기사들의 평균 급여가 320만원대라는 대전시에 주장에 노조측이 임금 지급 명세서를 공개하며 정면 반발에 나섰다.

버스 노조에 따르면 “준 공영제 실시 이후 단 한번도 300만원을 받아본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만일 대전시의 주장대로 320만원이 월급이라면 지금 당장이라도 파업을 철회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찰과 시위대가 대치하고 있다
  

노조측은 대전시가 버스 노조를 귀족 노조로 둔갑 시키며 도덕성에 타격을 줬다며 실제 급여 수령액은 160 여만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월 24일 근무에 기본급 101만원, 연장 근로 수당 32만원, 야간 근로수당 20만원, 주휴일 근로수당 18만원, 승무수당 3만 5000원등으로 총 185만원이며 세금을 공제할 경우 159만원에 불과하다며 대전시의 주장을 정면 반박했다.

시위대가 광장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측 관계자는 “노조측이 고의적으로 상여금, 근속수당, 연차수당, 유금 휴일 수당, 휴가비, 교통비, 무사고 수당, 운전자 보험 수당등을 누락 시켰다”고 맞서고 있다.
 
대전시의 주장에 따르면 운전자들에게 지급되는 보너스는 연간 600%이며 근속수당5만 2000원, 연차수당 6만9000원, 유급 휴가 수당 2만 8000원, 하계 휴가비용 6000원 식대 및 교통비 11만 5000원등이 빠져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무사고 수당과 기타 복리 후생비, 운전자 보험등을 포함할 경우 7만원여원이 추가 계산할 경우 월정 급여는 310만원에 이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노조측은 복리 후생비등은 임금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조원들은 “회사가 운전자에게 지급하는 장갑이나 유니폼 마저도 급여에 포함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퇴직충당금’ 마저 총 급여에 포함하는 것은 근로 기준법 위반이라고 주장하며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노조측의 주장대로 환산할 경우 근로자의 임금은 월 250만원선이 되면서 대전시측의 주장과는 70만원이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노조측은 대전시가 노조를 악의적으로 호도하고 있다며 대전시의 사과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노총 자동차 노조 이봉우 간사는 “이같은 문제는 결국 대전 시내버스 운전기사의 법적인 신분이 계약직”이기 때문이며 “현재의 시급직에서 월급제로 전환 할 경우 이런 사태는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날 노조측은 박성효 시장에 항의 서안 전달을 시도하던 도중 경찰이 저지하자 ‘57주년 6.25 기념식장’에 진입해 몸싸움을 벌이는 등 물리적 충돌을 빚기도 했다.

 

(2신)대전시청이 버스 노조 파업 장기화를 대비한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같은 움직임은 23일 노동위원회의 중재로 버스 노조와 대전시가 가진 협상이 또다시 결렬 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우선 오는 25일 출근 전쟁에서부터 발생할 시민 불편에 대비해 대형 면허를 소유했거나 현재 관광버스 운전자들을 중심으로 긴급 수혈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또 현재 운행중인 관광버스의 운행 횟수를 증편하는 등의 조치도 함께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버스 노조측 인사들이 박성효 시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면 기념식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행중인 서틀 버스등의 배차 시간과 운행시간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교통 불편은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장마철을 맞아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하상 도로 사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출·퇴근길은 그야말로 전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근본적인 해결의 실마리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노조측과 지속적인 협상을 통해 합의점 도출을 시도하고 있으나 준공영제도 재검토등을 이미 발표한 상태에서 노조측을 다시 협상 테이블에 끌어낼수 있느냐는 의구심 마저 들고 있다.

아 짜증나 - 버스 파업으로 시민들의 불편이 가중됐다.
     

 

(1신) 22일로 예정되어 있던 대전시내 버스노조 파업이 현실화 됐다.

 

새벽을 기해 전격적으로 파업을 시작한 대전시 버스 노조의 파업으로 이를 미쳐 알지 못했던 시민들은 대전시가 파업에 대비해 준비한 500여대의 서틀 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길게 줄을 서 있는 모습들이 곳곳에서 보이기도 했다.

 

대전시는 교통 대란을 해결하기 위해 서틀버스와 지하철을 증편 운행하는 등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했지만 서틀 버스는 교통카드 사용이 되지 않아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 하는데는 역부족이였다.

 

버스 노조의 파업으로 대중 교통 수단이 사라짐에 따라 아침 출근길은 시민들이 끌고 나온 자가용들로 극심한 혼잡을 이루는 파업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다.

 

이번 버스 파업은 지난 22일 새벽 3시까지 이어진 밤샘 마라톤 회의가 결렬되면서 현실화 됐다.

 

대전시는 기존의 2.5% 인상안에서 0.5%를 올린 3% 임금 인상안을 제시하며 타협을 유도했고 노조측 역시 5.3%안을 제시했지만 역시 합의점을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양진영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며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끝내 파업으로 치닫자 각종 시민단체들의 비난 성명도 쏟아지고 있다.

 

파업 첫날인 22일 ‘대전사랑시민협의회’등 123개 단체가 대전시청에서 성명서를 통해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하는 파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주장했다 

 

노조에 대한 시민들의 시선을 의식해 대전시와 버스 노조는 같은날 오후 4시 또다시 협상을 위해 같은 테이블에 앉을 것으로 알려져 이날 협상의 결과에 따라 버스 파업의 장기화 되느냐 신속히 해결되느냐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노조측의 주장은 단순한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수준을 넘어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등을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합의점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박성효 대전시장은 버스 파업이 현실화 되자 버스 준공영제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버스 노조에 대한 압력을 한층 가중 시켰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