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확대 간부 회의서 발표…유성구 몰아주기 도를 넘었다 비판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시가 2030 아시안 게임을 충청권 4개 시도와 공동 유치하기로 한 가운데 경기장 입지를 두고 그 태도를 단 하루만에 바꿨다.

8일 확대 간부 회의에서 시는 기존 경기장과 인접 도시 경기장을 활용한 신축 경기장 최소화 등 저비용·고효율 대회로 개최하고, 서남부 종합 스포츠 타운과 연계해 지역 개발 효과도 거두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런 시의 발표는 하루 전인 이달 7일 기자 간담회 때와는 전혀 다른 대목이다.

기자 간담회에서 2030 아시안 게임 유치 때 경기장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묻는 몇 차례 질문에 시가 서남부는 아직 아니다라고 한 것과 확대 간부 회의에서 나온 서남부 연계는 이해가 어려울 정도로 상충한다.

공식적인 기자 간담회와 확대 간부 회의에서 한 가지 사안을 두고 다른 내용을 발표해 시가 대놓고 시민을 기만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특히 신축 예정인 야구장으로 시야를 좁혀 보면 문제의 심각성은 더해진다.

서구를 제외하고 사실상 동구·중구·대덕구·유성구의 유치전이 우려를 해야할 정도로 과열로 치닫는 이 때 확대 간부 회의에서 나온 내용대로라면 베이스볼 드림 파크가 서남부 종합 스포츠 타운행이 유력한 것으로 점쳐진다.

문제는 이미 경쟁력을 갖춘 유성구를 이렇게 대놓고 밀 경우 다른 자치구의 반발을 감당해 낼 수 있냐는데 있다.

허 시장이 재선 유성구청장이었고, 현 정용래 유성구청장이 허 시장이 유성구청장 시절 비서실장이었기 때문에 이런 일이 가능하다는 곱지 않는 시선 마저 제기되는 이유다.

또 국제 경기 대회 유치 때 경기장 등 사회 간접 자본(SOC) 조성에 국비 50%를 반영해 준다고 시가 밝힌 점은 결과적으로 충청권 4개 시도의 2030 아시안 게임 공동 유치에 숨은 그림이라는 일부 분석도 나온다.

충청권 4개 시·도가 밝히지 않았지만, 서로의 이해 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물이 2030 아시안 게임 유치라는 것이다.

대전시로 한정 짓는다면 아시안 게임 유치로 야구장 문제를 힘들이지 않고 풀 거나, 유치 때까지 시간 끌기에 나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