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규모 등 갖가지 문제점 노출…정치권 관심 부족에서 시작 쓴소리

▲ 지난 달 27일 제대로 된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을 위한 대전·충남 시민 TF는 송년 기자 회견에 앞서 허태정 대전시장에게 2018년 충남권역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건립 수정 사업 계획서 검토 의견서를 전달했다. 병원 운영 계획 등이 그 기능에 미치지 못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대전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이 졸속 추진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달 14일 대전시와 사업 수행 기관인 충남대학교 병원이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건립을 위한 두 기관의 역할을 담은 업무 협약을 체결했지만, 수두룩한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건립은 환영해야 할 일이지만, 원하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선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에 맞지 않게 적은 병상 수가 문제다.

입원 병상 30개, 외래 병상 30개로 구성 예정인 어린이 재활 병원은 그 수요에 턱없이 모자란다는 분석이다.

충청권에만 한정해도 치료와 재활이 필요한 장애 어린이 환자만 어림잡아 6000명 수준이지만, 입원 병상이 30개 밖에 되지 않는 것이 그 이유다.

입원 병상이 부족한 것과 함께 입원 장애 어린이의 교육도 감안해야 하지만, 대전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에 교실은 단 1개만 배정됐다.

대전시 교육청은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에 교무실을 제외하고 최소 6개 교실이 필요하다고 제안했지만, 충남대 병원 측에서 공간 부족을 이유로 단 1개의 교실만을 배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공간 부족의 원인은 병원 부지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구 관저동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부지는 자연 녹지로 전체 부지의 20%만 건물로 활용할 수 있다.

대전시 소유 부지로 용도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가 당초 계획부터 적정한 수준의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건립 의지가 없었다는 비판을 사고 있기도 하다.

이에 따라 시는 2단계에서 80억원을 더 투입해 지하 1개층, 지상 1개층을 수직 증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특히 대전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이 문재인 대통령 공약으로 정치권의 관심이 부족하다는 쓴소리가 나온다.

법안을 발의하고, 건립을 약속한 지역 국회 의원이 각성해야 할 사안이면서 공공 어린이 재활 병원 예산을 확보했다는 자화자찬이 무색해 지는 대목이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