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훈련청 추정 건물지 발견…태종 17년 왜구 침입 방어 위해 축성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사적 제346호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에서 조선 시대 훈련청과 군기고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발견됐다.

또 화약 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11점, 자기류, 기와류도 함께 출토됐다.

이번 발굴 조사에서는 훈련청과 군기고로 추정되는 건물지를 비롯, 10동 가량의 건물지와 수혈, 도로 시설 등을 확인했다.

특히 1호 수혈에서는 조선 시대에 발명된 우리나라 최초의 시한 폭탄이라고 할 수 있는 비격진천뢰가 출토됐으며, 인접해 있는 포대(砲臺) 시설도 확인했다.

이번 조사에서 나온 비격진천뢰는 모두 11점으로 비교적 온전한 상태며, 크기는 지름 21㎝, 무게 17~18㎏ 정도로 비슷한 상태다.

현재까지 보고된 비격진천뢰는 국립 고궁 박물관 소장품인 보물 제860호를 비롯해 모두 6점에 불과하다. 이번에 발견된 11점은 그 수가 상당히 많고, 새롭게 출토된 점에서 주목 받는다.

비격진천뢰는 조선 선조 연간에 발명됐으며, 목표물에 날아가 천둥 번개와 같은 굉음과 섬광, 수많은 파편을 쏟아내면서 폭발하는 작렬 시한 폭탄으로, 완구라는 화포에 장전해서 사용했다.

이와 함께 비격진천뢰가 나온 구덩이 주변에서는 포사격 시설로 추정되는 포대가 조사됐다.

평면이 원형 형태로 규모는 지름 170㎝다. 돌을 편평하게 깔아 견고하게 만든 후 흙을 다져 바닥면을 마련했다.

더불어 포의 거치대로 추정되는 2개의 기둥 구멍이 포대 남쪽에서 확인되기도 했다.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은 1417년, 태종 17년에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축성됐다. 조선 시대 읍성 가운데 제작 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읍성으로, 행정과 군사의 요충지 역할을 담당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