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3주년 기자회견…"앞으로 자유학년제, 미래로 스쿨 주력"

▲ 김지철 충남도 교육감이 13일 취임 3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시티저널 이명우 기자 ] 김지철 충남도교육감은 13일 “남은 기간 새 정부의 정책에 적극 보조를 맞추고, 자유학년제와 미래로 스쿨 운영에 주력하겠다”며, “현장중심 교육행정을 위해 지난 3년간 충남 750개 학교 중 600여 곳을 방문했으며 임기 내에 모든 학교를 방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교육감은 또 “아이들 표정 밝아진 것 가장 큰 성과”라며 “앞으로 남은 1년은 참학력 완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지난 3년의 성과와 남은 1년의 계획을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다.

김 교육감은 이날 오전 취임 3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년 동안 학생들의 표정이 밝아지고 학교현장에서 연구하고 소통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문화가 정착되고 있음을 최대 성과라고 평가 했다.

김 교육감은 “국가책임 강화라는 새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과 관련해 충남교육청의 철학과 일치한다”며, “문재인 정부와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행복한 학교 학생중심 충남교육의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특목고, 외고, 자사고 폐지와 관련해서는 “일반고 전환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추진하되, 외고와 자사고의 선발시기를 일반고와 일치시키는 문제가 실효성 있는 대책이라며 적극적인 추진을 교육부에 건의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도내에는 천안 북일고와 아산 삼성고 등 자사고 2곳과 충남외고 1곳이 있으며 삼성고는 2018년, 북일고는 2019년에 각각 재지정 평가가 열린다.

고교학점제 도입 방침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필수교과를 최소화 하고 학생의 교과 선택권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원칙적 찬성한다.”며, “우선 쌍방향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인 미래로 스쿨을 통해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철 교육감은 지난 3년을 ‘참학력 신장과 진로진학의 양 날개를 활짝 펼치고자 노력했던 3년’이라고 요약하고, 현재 54곳인 충남형 혁신학교인 행복나눔학교 운영,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사 문화 활성화를 위해 교사학습공동체의 확산(전체 학교의 97%), 학교업무 최적화, 학교평가 폐지 등을 통해 학교혁신, 수업 혁신에 주력했다고 밝혔다.

김지철 교육감은 그간 추진해왔던 정책을 지속하되 향후 1년간 참학력 신장에 관계한 사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현행 자유학기제의 성과를 확대해 내년에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1년 동안 자유학년제를 운영한다.

올해 초 7개 시·군과 협약을 통해 지정한 행복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연계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학교 교육과정에 마을교육이 적극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충남도교육청은 올 하반기부터 ‘4차 산업혁명 미래인재교육 플랫폼’을 구축한다.

올해 상반기 포항공대, 충청남도, 여시재 등과 공동으로 관련 준비를 진행하고 있으며, 하반기 1000여명의 연수를 시작으로 내년부터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아울러 새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고교학점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교육개발원(KEDI)과 공동으로 쌍방향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미래로 스쿨을 구축할 계획이다. 충남교육연구정보원과 중심고등학교 1곳에 각각 스튜디오를 구축하고, 온라인수업과 출석 수업을 통해 학생의 선택권을 확장하는 수업을 실시한다.

이어진 질의응답 과정에서 최근 천안지역 아파트 건립과 관련 건축허가 과정에서 건설사의 학교 기부체납 의사를 거절한 것에 대해 김 교육감은 “자세한 내용은 파악하지 못했다.”고 인정하고 “(통학거리 등 열악한 통학 환경에 대해) 학생들의 통학거리 문제는 천안교육청과 다른 방안을 강구해 보겠다.”고 밝혔다.

또 인근에 설립 예정인 희망초(가칭)와 관련, “희망초 신설은 4700여세대의 아파트가 설립될 예정이기 때문에 꼭 필요한 사항이지만 학교 위치가 문제가 되어 중앙투자심사위에서 보류된 상태”라며 “중앙투자심사위원을 초정해서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 설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교육감은 “각 시군청에서는 지역개발이라는 입장에서 일처리를 하지만 학생수요 문제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지역발전의 필요성에 의해서 개발이 이뤄지면 교육청에서는 방법이 없다”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