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 경제 분야 직속…경제 활성화에 초점 구심점 없어

▲ 부산시의 조직도를 살펴보면 정무부시장이 아닌 경제부시장 체제인 것을 알 수 있다. 대구시 역시 부산시와 비슷하다. 이 두 도시의 경제부시장은 경제 분야와 미래 먹거리 분야를 직속으로 한다.

[ 시티저널 허송빈 기자 ] 민선 광역시장을 보좌하는 정무부시장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것은 아니다. 대전시만 해도 정무부시장이지만, 다른 광역시의 경우 경제부시장이 대세다.

정무부시장은 선출 지방 자치 단체장을 보좌해 각종 조언을 하거나, 국회나 지방 의회 또는 정당 등과 해당 지자체의 필요에 따른 협조·협의를 업무로 한다.

또 지자체장에 따라서는 특별한 업무를 맡기는 경우도 있다.

대전시의 경우 민선 6기를 거치면서 쭉 정무부시장을 임명해 그 역할과 업무를 진행하도록 했다.

그러나 최근 다른 광역시의 경우를 보면 미래 먹거리와 관광 등의 업무를 경제부시장이 하도록 하고 있다.

정무부시장의 업무와 역할 보다는 지역의 일자리와 먹거리에 집중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부산시의 경우 경제부시장 직속으로 일자리경제본부, 산업통상국, 신성장산업국, 해양수산국 등을 총괄하도록 했다.

대구시 역시 경제부시장 직속의 국제협력관, 창조경제본부, 미래산업추진본부, 녹색환경국 등을 두고 있다.

또 인천시의 경우도 정무·경제부시장을 두고 소통 담당관, 브랜드 담당관, 국제협력 담당관, 중국협력 담당관 등을 직속으로 한다. 울산·광주시는 경제부시장 체제지만, 직속 부서는 없다.

반면 대전시·서울시·세종시의 경우 정무부시장을 유지 중이다.

대전시의 경우 정무부시장이 문화체육관광국과 보건복지여성국의 결제 선상에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요식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경제 분야는 1명의 특별 보좌관이 업무를 맡고 있지만, 그 역할에는 의문 부호가 붙는 실정이다.

대전시가 제4차 산업 혁명 특별시, 청년 정책 담당관 신설 등 지역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도 그 업무를 기획조정실에 두고 있는 것이 부산·대구시와 가장 큰 차이다.특히 부산·대구시의 경우 경제부시장 공모 때 동향의 기획재정부 출신 고위 공무원을 임용해 지역 현을 해결을 위한 국비 확보 때 상당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전시가 정무부시장을 정당 몫, 시장 캠프 인사로 채우고 있을 때 한 발 더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시티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